네트워크 주소

반응형

 1. 네트워크 주소

 

 1.1 주소의 개념

네트워크에서 시스템을 구별하기 위해 각 장치에는 고유한 주소가 부여됩니다. 이러한 주소는 숫자로 표현되며, 일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문자 기반의 이름도 함께 사용된다.

 

 1.2 네트워크 주소의 특징

  • 유일성: 각 장치는 고유한 주소를 가져야 한다.
  • 확장성: 시간이 지나면서 장치가 늘어나도 원활하게 주소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한다.
  • 편리성: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문자 기반의 이름을 제공해야 한다.
  • 정보의 함축: 주소에는 관련된 정보(위치, 유형 등)가 포함될 수 있다.

 

 1.3 IP 주소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는 네트워크에서 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 IPv4: 32비트로 구성되며, 보통 211.223.201.30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된다.
  • IPv6: 128비트로 확장된 주소 체계로, 보다 많은 장치를 지원한다.

 

 1.4 호스트 이름과 DNS

  • 사용자는 숫자로 된 IP 주소 대신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
  • 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 예: korea.co.kr → 211.223.201.27

 

 2. 네트워크 명령어 비교 (Windows & macOS)

 

명령어 설명Windows 명령어macOS 명령어

컴퓨터 이름 확인 hostname hostname
사용자 계정 확인 net user id
IP 주소 및 네트워크 설정 확인 ipconfig ifconfig
MAC 주소(물리적 주소) 확인 ipconfig /all ifconfig -a
현재 IP 주소 해제 (Wi-Fi) ipconfig /release "Wi-Fi" sudo ifconfig en0 down
현재 IP 주소 해제 (유선) ipconfig /release "Ethernet" sudo ifconfig eth0 down
새로운 IP 주소 할당 (Wi-Fi) ipconfig /renew "Wi-Fi" sudo ifconfig en0 up
새로운 IP 주소 할당 (유선) ipconfig /renew "Ethernet" sudo ifconfig eth0 up
네트워크 연결 상태 점검 ping [주소] ping [주소]

 

 2.2 ping 명령어 사용 예시

ping ~~~~~(네이버나 구글 주소등으로도 테스트 가능)
  • 해당 도메인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응답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 응답이 없거나 시간이 오래 걸리면 네트워크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3. 기타 주소 체계

 

 3.1 MAC 주소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에 할당된 고유한 물리적 주소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3.2 포트 주소

  • 네트워크에서 특정 프로세스를 구분하기 위한 번호
  • 예: 웹 브라우징(HTTP)은 포트 80, 이메일 전송(SMTP)은 포트 25를 사용한다.

 

 3.3 이메일 주소

  • 이메일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주소이다.
  • 예: hwanu@~~~.com

 

반응형

'컴퓨터 공학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의 기초 개념  (0) 2025.03.15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