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의 기초 개념

반응형

1. 네트워크란?

네트워크(Network)는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모뎀, LAN, 케이블, 무선 매체 등의 통신 설비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 조직 또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공유, 자원 활용, 원격 작업 등이 가능해진다.

 

2. 주변 장치 공유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주변 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2.1 네트워크 공유(프린터 예시)

  • 프린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프린터를 이용하며, 인쇄 작업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2.2 파일 및 폴더 공유

  •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및 폴더를 공유하면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편집할 수 있다.
  • 이를 통해 협업 및 문서 관리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2.3 네트워크 스캐너 및 외장 드라이브 공유

  • 네트워크 스캐너를 공유하면 여러 사용자가 스캔한 문서를 받을 수 있다.
  • 외장 드라이브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데이터 공유가 용이해진다.
  •  

 3. 효율적인 통신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1 이메일 송수신 과정

  1. 송신자가 이메일을 보낸다.
  2. 메시지가 서버에 저장된다.
  3. 서버가 수신자에게 메시지가 있음을 알린다.
  4. 수신자가 서버에서 메시지를 검색하여 이메일을 확인한다.

 

 4. 데이터 전송 규칙

4.1 대역폭(Bandwidth)

  •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신호의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를 의미한다.
  •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며, 기본 단위는 bps(bit per second)이다.

4.2 패킷(Packet)

  •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이다.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다.

4.3 패킷 전송 과정

패킷은 헤더(Header), 페이로드(Payload), 제어 요소로 구성

  • 헤더(Header): 데이터의 송수신지, 크기, 일련 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 페이로드(Payload): 실제 전송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를 포함한다.
  • 제어 요소: 패킷의 전송 및 라우팅을 제어합니다.

 

 5. 비트와 바이트

5.1 비트와 바이트의 개념

  • 비트(Bit): 0과 1로 이루어진 디지털 데이터의 최소 단위이다.
  • 바이트(Byte): 8비트가 모여 하나의 바이트를 구성하며, 컴퓨터는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처리한다.

5.2 아스키 코드(ASCII Code)

  • 컴퓨터에서 문자를 숫자로 표현하는 표준 인코딩 방식이다.
  • 예) 대문자 'A'는 ASCII 코드에서 65, 소문자 'a'는 97, 숫자 '0'은 48로 표현됨
반응형

'컴퓨터 공학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주소  (1) 2025.03.16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