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둡을 로컬 컴퓨터 한대에서 실습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virtualbox나 도커와 같이 컴퓨터 한대에서 여러대의 서버를 실행하기 위한 보조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한다.
도커 vs virtualbox
도커를 선택한 이유
1. 내가 접한 실무적인 환경에서 virtualbox를 사용하는 경우는 없었다.(사용하는 곳도 있을 수 있지만 일단 필자의 경험상은 존재 x)
2. virtualbox는 로컬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무겁다. 가상서버를 설치시 메모리와 cpu, hdd 용량까지 설정하여야하여 사용 중 로컬 컴의 리소스가 제한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반면 docker는 자원의 공유가 가능하여 따로 설정을 하지 않으면 로컬 환경과 자원을 공유하는 장점이 있고 사용하지 않는 hdd나 메모리 등의 자원을 잡아먹지 않는다.
3. 그외에도 여러 장점이 있지만 궁금하다면 구글링을 해보길 권장한다.
이미지 출처:https://www.docker.com/resources/what-container/
도커란?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이 한 컴퓨팅 환경에서 다른 컴퓨팅 환경으로 빠르고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코드와 모든 종속성을 패키지화하는 소프트웨어의 표준 단위입니다. Docker는 이러한 컨테이너 실행을 도와주는 실행 소프트웨어 패키지입니다.
도커설치
1.windows 기능 설정 변경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하여 windows기능 설정을 열고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과 가상 머신 플랫폼을 체크해준다.
2. wsl 2 설치
wsl 2란? windows subsystem for linux 의 약자이다. 즉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가 실행가능 하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아래의 링크는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wsl 업데이트 파일이니 다운로드 후 실행한 후 다음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업데이트가 완료되었다면 window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wsl 2가 기본버전으로 설정된다.
wsl --set-default-version 2
3. 도커 설치
아래의 링크에 접속하여 환경별로(Windows, Mac ,Linux) 도커 설치
https://docs.docker.com/get-docker/
설치중 wsl 2 관련 옵션을 체크해준 후 설치를 마무리하면 도커 설치가 완료된다.
'빅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Docker를 활용한 하둡 설치(4) - hadoop 설치 및 ssh및 설정 (0) | 2022.08.17 |
---|---|
3. Docker를 활용한 하둡 설치(3) - zookeeper 설치 (0) | 2022.07.26 |
2. Docker를 활용한 하둡 설치(2) - 우분투18.04, 자바1.8, 파이썬3.8 설치 (0) | 2022.07.22 |